관절통증클리닉

체외충격파 제대로 알고 받는 법, 방사형 VS 집중형의 차이

gddoctoros01 2023. 1. 20. 16:16

체외충격파 치료는 다양한 부위에 다양한 효과를 주기 때문에 정형외과에서 많이 시행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진료를 받으러 내원하게 되면 종류가 너무 다양해서 뭐가 뭔지 헷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중 체외충격파는 방사형 충격파와 집중형 충격파로 나눠지는데요 어떤 경우에 어떤 기계를 이용하여 치료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체외충격파란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 중 하나로 충격파가 발생하는 치료기계를 이용하여 절개나 손상 없이 근골격계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몸 외부에서 내부로 충격파를 전달하여 손상된 조직 회복,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법입니다. 인대와 힘줄에 있는 염증을 줄여주며 석회를 제거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치료법이기도 합니다.

방사형 충격파 & 집중형 충격파

방사형 충격파(Radial ESWT)

방사형은 충격파장이 근육층에 전달되는 것으로 넓게 퍼지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허리, 등처럼 넓은 부위에 사용이 용이하고 근육, 근막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으며 어떠한 질환으로 인한 연관통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치료 예)

허리 수술 후 발생한 허리 근막통증이 심할 때

목 디스크로 인해 경직되어 발생한 등 부위 통증

손목 통증으로 인해 팔까지 올라온 팔 근육 연관통

집중형 충격파(Focus ESWT)

집중형은 충격파 에너지를 한 곳으로 집중시켜 체내 깊숙이 침투가 가능한 방식입니다. 관절, 인대 등 연부 조직에 생긴 염증을 가라앉히고 손상된 곳의 재생을 돕는 효과, 골절 부위의 골유합 촉진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방면에서 사용이 용이합니다.

치료 예)

발목 미세골절 시 골유합 촉진을 시킬 때

어깨에 석회성 건염이 생겼을 때 제거 목적

팔꿈치 인대가 손상되어 재생이 필요할 때

족저 근막염이 있을 때

 
 

둘 중 뭐가 더 좋은 거예요?

라고 많이들 물어보시는 질문입니다. 방사형과 집중형은 치료 효과와 적용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어떠한 것이 더 좋다 나쁘다 하는 게 아니라 증상에 맞는 방법으로 치료를 진행하셔야 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예를 들어 손목 건초염으로 체외충격파를 받는다면 손목에는 집중형 충격파로 손상된 인대, 힘줄의 재생을 촉진하고 염증을 줄이고 연관통으로 생긴 팔 통증에는 방사형 충격파로 근막을 이완시켜 근육조직을 매끄럽게 하는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체외충격파 아픈가요?

사람마다 느끼는 통증의 정도가 모두 다릅니다. 같은 강도로 치료를 진행해도 어느 분은 매우 아프다고 느끼고 어느 분은 간지럽다고 느끼는 것이 이 이유 때문입니다. 질환이 심하다고 무조건 아픈 것은 아니니 담당 치료사와 상의를 해가며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Q. 얼마나 받아야 하나요?

체외충격파는 보통 2~3일에 1회씩 6회에서 8회 정도 집중치료를 받는 편입니다만 질환의 정도와 환자마다 회복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치료 기간은 상이할 수 있습니다.

Q. 부작용이 있나요?

부작용은 거의 없으나 매우 드물게 체외충격파를 받은 후 1~2일 정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피부가 붓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땐 냉찜질을 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체외충격파는 비침습적 치료로 여러 질환에 두루 사용되는 치료입니다. 일상생활을 바로 해도 큰 문제가 없는 방법이기 때문에 접근성이 높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굿닥터정형외과에서는 질환에 맞는 맞춤형 체외충격파로 환자분의 치료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