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하동정형외과] 머리부터 손끝까지 목디스크의 자세한 증상

추울 때 관절이나 근육의 통증이 심해지는 이유는 추운 기온에 몸이 경직되고 굳으면서 유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고, 이에 혈액순환이 감소하면서 몸이 무겁게 느껴지기도 하는데요. 이때 발생하는 통증은 일시적일 수 있지만, 따뜻한 곳에서도 통증이 계속되고, 몸이 풀렸는데도 아프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질환을 의심해 봐야 하는데요.
그 중에서도 목이나 어깨, 팔 등 상체 전반에서 통증과 저림 증상이 나타난다면 의심해 보아야 하는 목디스크에 대해 소하동정형외과 굿닥터정형외과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가 목뼈라고 부르는 경추는 7개의 뼈가 이어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7개의 뼈는 서로 맞닿지 않아 부딪히거나 마찰되지 않는데요. 이는 추간판이라고 하는 연골 구조물이 뼈 사이에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추간판은 말랑하고 탄성이 있는 형태의 연골 구조물로 뼈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흡수, 완화해 경추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죠.
그런데 이 추간판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후방으로 탈출할 수 있는데요. 이에 경추 주변을 지나는 신경을 누르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경추 추간판 탈출증, 목디스크라고 한답니다. 따라서 목디스크는 신경이 눌리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질환의 근원지인 목에 한정된 것이 아닌 경추 신경이 지나는 모든 부위에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그 증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경추 신경은 뇌에서 시작되어 얼굴과 목, 어깨, 팔과 손가락 끝, 그리고 등 위쪽까지 상체 전반에 퍼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목디스크로 경추 신경이 눌리면 상체 전반에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눌린 신경의 위치에 따라 세부적인 증상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대개 나타나는 통증은 다음과 같아요.
- 목이 뻐근하고 결린다. 이와 함께 어깨와 등까지 통증이 있다.
- 어깨와 팔, 손으로 저리는 증상이 나타난다.
- 손과 손가락이 저리고 감각에 이상이 생겨 힘이 잘 안들어간다.
- 고개를 뒤로 젖히거나 돌리면 통증이 심해진다.
- 두통과 어지럼증 등의 증상이 계속된다.
- 시야 흐릿함, 안구통증, 이명, 귀 먹먹함 등의 증상이 있다.
- 만성적인 피로가 나타나거나 불면증 같은 수면장애가 나타난다.



목디스크 초기에는 경추의 추간판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주변의 근육과 인대 등의 조직이 긴장, 경직해 근육이 뭉치고 결리는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질환이 진행되면서 계속해서 긴장한 근육 조직에 의해 혈관과 신경 또한 압박되어 두통과 안구통증 같은 신경 압박 증세가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추간판을 비롯한 척추 구조물이 퇴행성 변화를 겪는 것이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노화에 의해 퇴행성 변화 뿐 아니라, 경추에 스트레스와 긴장을 주는 습관이나 행동이 경추의 노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목을 과도하게 빼거나 숙이는 것과 같은 습관은 경추의 긴장을 극대화시키며, 이러한 행동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을 볼 때 흔하게 하는 행동인데요.


따라서 과거에는 노화에 의한 퇴행성 변화가 목디스크의 주된 원인이었다면, 현재는 잘못된 생활습관에 의해 받는 경추의 스트레스와 부담이 주된 원인이라고 볼 수 있어요. 이러한 부담은 같은 자세로 앉아있는 습관이나 엎드려서 독서 혹은 스마트폰을 하는 것, 너무 높은 베개를 벨 때도 받을 수 있으며, 교통사고나 낙상사고 같은 갑작스러운 큰 충격 또한 목디스크의 원인이 됩니다.

이렇게 목디스크는 증상이 다양하고, 광범위하게 나타나 다른 질환과 혼동하기 쉬우며,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질환인데요. 집에서 혼자 목디스크를 판단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소하동정형외과 굿닥터정형외과에 내원하여 정밀한 검사와 진찰을 받아 보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집에서도 어느정도 목디스크를 가늠해볼 수 있는 자가진단법이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했을 시 증상이 나타난다면 목디스크를 의심해보고 소하동정형외과에 내원하는 것이 좋은데요. 이러한 방법은 자가진단법으로, 정형외과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정확합니다.

목디스크는 초기 단계라면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도수치료, 운동요법 등의 보존적인 치료 방법으로도 충분히 증상 개선을 기대해볼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도수치료는 목디스크를 비롯한 근골격계 비수술 통증치료의 대표적인 방법인데요.
의학적, 해부학적, 운동역학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는 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진행하는 도수치료는, 최대한의 가동범위와 근력을 증가시키고, 자세의 균형을 확보해 신체 기능 향상과 통증을 감소를 유도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과도하게 긴장한 근육 혹은 연부조직을 풀어주고, 틀어진 척추의 정렬을 바로잡음으로써 신경 압박을 해소해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데요. 통증으로 인해 줄어든 가동 범위와 신체기능의 향상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도수치료는 약물과 마취, 절개 등의 개입 없이 진행되는 치료로 신체적인 부담 없이 전 연령대가 받아볼 수 있으며, 당뇨나 고혈압 같은 전신 질환이 있어도 적용 가능한 치료입니다.


소하동정형외과 굿닥터정형외과에서는 치료 전 의사, 치료사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하며, 그에 적합한 1:1 맞춤 치료를 제공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척추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명허리디스크 심해지기 전 초기에 (0) | 2024.01.15 |
---|---|
뻐근한 허리의 원인 [광명허리디스크] (0) | 2024.01.09 |
하안동척추병원 골다공증이 있다면 겨울철 척추압박골절 조심 (0) | 2023.12.26 |
철산동척추병원 허리가 아파 못 걷겠을 때 척추관협착증 (0) | 2023.12.26 |
하안동허리디스크 젊은 나이에도 주의하세요 (0) | 2023.12.26 |